안녕하세요. 직접 경험해보고 느낀점으로 생활에 필요한 지식들을 전달해드리는 생활지식 바이블 입니다.
지난 포스팅에는 매년 출시되는 휴대폰의 성능과 디자인이 올라가고 함께 가격도 올라감에 부담이 되는 상황에서 한 줄기 희망과 같은 '공시지원금'과 '선택약정할인제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 지난 포스팅 보기
[생활지식] 공시지원금? 선택약정할인? 뭐야 그게?
안녕하세요. 직접 경험해보고 느낀점으로 생활에 필요한 지식들을 전달해드리는 생활지식 바이블 입니다. 매년 이 맘때에는 항상 새로운 스마트폰의 출시로 시끌벅적했던 것 같은데요. 올해(202
kimm0559.tistory.com
여러분들이 최대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고자 노력했는데, 위 포스팅을 읽으시고 꼭 '공시지원금'과 '선택약정할인제도'에 대해서 어떤 개념인지 정확하게 알고 넘어가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렇다면 오늘 이 시간에는,
"공시지원금과 선택약정할인제도는 알겠고... 그럼 도대체 뭐가 좋다는거야?"에 대한 의문을 해결해보고자 합니다.
그래서 뭐가 좋다는거야?
답은 당연히 예상하셨겠지만, '딱 한 가지 골라서 말할 수 없다.', '모든 조건을 비교해 봐야한다.' 입니다.
약간 김 빠지셨게겠죠...?
하지만, 저는 저의 상황을 고려했을 때, 저는! 자급제 폰을 구입하여 '선택약정할인제도'를 받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오로지 주관적입니다........)
다음 글을 쭉 읽어보시면서 저의 성향이나 성황과 맞는 분들은 '선택약정할인제도'를 선택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선택약정할인제도를 선택한 이유 4가지
제가 '선택약정할인제도'를 더 선호하는 이유는,
1. 자유로운 통신사와 요금제 선택 / 2. 제조사 휴대폰 사용 / 3. 불안정한 상황이 싫음 / 4. 공시지원금의 유동성
때문 입니다.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선택약정할인제도' 선택 이유>>>
1. 자유로운 통신사와 요금제 선택
- 내가 원하는 통신사를 가입함으로써, 나에게 맞는 혜택을 주는 통신사 가입을 선택할 수 있음
: 휴대폰은 출고가 대로 샀으니... 통신사라도 나에게 맞는 곳을 선택할 수 있겠죠? 3사의 통신사 마다 주는 혜택이 다른데, 내가 선호하는 혜택을 많이 주는 통신사를 선택해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
: 추가로 선택약정할인은 못 받을 수 있지만, 알뜰폰 통신사와 같이 저렴한 요금제의 통신사도 선택할 수 있죠!
- 내가 원하는 통신사를 가입함으로써, 우리 집 인터넷과의 결합도 비교적 맞추기 쉬움
: 대부분 스마트폰은 24개월 약정, 인터넷/IPTV는 36개월 약정인데요. 이것 때문에 결합할인을 맞추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저는 상대적으로 약정기간이 더 긴 인터넷은 고정시켜놓고 거기에 맞게 결합할인이 되는 통신사를 찾아서 가입하곤 합니다! 사용하시는 인터넷이 따로 없다면, 가족 구성원과의 통신사를 맞춤으로써 여기에서도 회선 결합 할인을 기대해볼 수 있겠죠
2. 제조사의 휴대폰 사용
- 스마트폰의 외관에 새겨진 통신사 로고, 스마트 폰 안에 설치된 각종 광고.. 싫음
: 많은 분들은 신경이 안 쓰이실 수 있겠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통신사의 로고가 박혀진 스마트폰이.... 별로 내키지 않습니다. 모델에 따라 다른 통신사로 이동 시 개통이 어려울 수도 있고요. 그리고 휴대폰을 켰을 때 깔아져 있는 각종 광고 앱들 역시 싫습니다. 물론, 케이스 끼고 다니고, 광고는 다 지울 수 있겠지만, 향후에 휴대폰을 중고로 판매하거나 다른 통신사로 이동을 할 때 어떤 불이익이 있을 수도 있다고 판단되어서 제조사에 있는 휴대폰을 사는 것을 선호합니다!
3. 불안정한 상황
- 공시지원금의 조건들로 인한 불안정한 상황보다는, 선택약정할인제도로 안정된 상황을 좋아하는 성향입니다.
: 이 이유 역시 지극히 개인적인 이유인데요. 공시지원금의 경우 183일(6개월) 정도 특정 비싼 요금제를 유지해야하고, 그 이후에 낮은 요금제로 변경할 수 있다는 조건이 붙습니다. 하지만, 아래의 경우 처럼 드물지만 통신사의 약관 변경으로 불이익을 보는 경우도 종종 존재하므로 저는 이러한 불확실하고 불안정한 상황을 선호하지 않습니다
: 또한, 공시지원금은 보통 24개월 약정으로 진행이 되는데, 중간에 어떤 상황(휴대폰 분실 / 통신사 변경 필요 / 새 단말기 보급 등)으로 바꿔야 할 시, 받았던 공시 지원금의 일부를 위약금으로 내야하는 상황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선택약정할인제도 역시 위약금이 존재하지만 12개월 약정이 가능한 점 때문에 좀 더 여유롭게 상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4. 공지지원금의 유동성 (불확실성)
- 공시지원금이 최대일 때, 휴대폰을 구입하면 정말 좋겠지만... 도대체 언제가 최대일 지는 아무도 모른다.
: 공시지원금의 금액이 크다는 것은 소비자에게 소비를 유도한다는 것입니다. 그 말은 즉, 출시기간이 지난 스마트폰의 처리(?)를 위해 공시지원금을 높게 책정할 수도 있고, 혹은 반대로 새로운 스마트폰의 출시에 맞춰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공시지원금이 높게 책정되는 경우도 더러 있습니다. 또한, 통신사에 따라 공시지원금의 규모도 다르고, 3번에서도 설명했듯이 요금제에 따라서도 그 규모가 달라집니다. 도대체 공시지원금이 언제가 최대가 되는지는 아무도 모르고, 새로운 스마트폰의 공시지원금이 높은지 낮은지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이전 모델의 출시 시기 때의 공시지원금과의 비교 혹은 경쟁사 스마트폰의 공시지원금과의 비교를 통해 대략적으로 알 수 밖에 없습니다.
저는 이러한 4가지 이유로 선택약정할인제도를 선택했는데요. 절대로 선택약정할인제도가 정답은 아닙니다. 공시지원금 제도 역시, 그 규모에 따라서 / 혹은 본인이 단말기를 구입하는데 목돈이 부족할 때 / 공시지원금 이외에 추가로 보상되는 플러스 알파 / 등등을 함께 비교해봤을 때, 공시지원금 제도가 훨씬 유리할 때도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이 글을 읽으시는 모든 분들도 본인이 처한 상황, 본인의 성향, 추가적인 혜택 등을 비교해가면서 자신에게 유리한게 무엇인지 정확하게 비교해보고 휴대폰을 구매하시면 좋겠습니다. 정확하게는 알지 못하더라도 어느 정도 비교할 수 있을 정도가 되신다면, 본인에게 유리한게 어떤 것인지 금방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본인에게 맞는 선택이 굿~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IT 생활지식(스마트폰, 인터넷, TV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정보] 공시지원금과 선택약정할인제도의 위약금 (0) | 2021.10.16 |
---|---|
[생활지식] 공시지원금을 선택해야하는 이유 4가지 (0) | 2021.10.13 |
[생활지식] 공시지원금? 선택약정할인? 뭐야 그게? (0) | 2021.10.10 |
[생활지식 - 알뜰폰#3] 알뜰폰도 결합이 된다고? (0) | 2021.10.09 |
[생활지식 - 알뜰폰 #2] 알뜰폰이 정말 저렴할까? (0) | 2021.10.08 |